반응형 알쓸신잡/부동산지식33 부동산은 언제 매도를 해야 할까요? 매도 타이밍 알려드립니다. 부동산 매도 타이밍 언제 일까요? 수익형 상가를 제외한 아파트 주거 부동산 투자를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주거형 부동산은 매수를 하는 것보다 매도를 하는 시기, 즉 매도타이밍을 잡는것이 훨 씬 어렵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오를때는 더 오를것 같아서 왠지 손해보는 느낌이라 선 뜻 매도하기고 어렵고 가격이 떨어지면 더 떨어질 것 같은 마음이 들어 시세보다 훨 씬 더 저렴하게 매도해 버릴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언제가 적절한 매도 타이밍일까요? 언제 부동산을 매도 하면 좋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평균 전세가율보다 현저히 낮을 때 내가 보유하고 있는 아파트가 준공된 후 현재까지의 전체기간에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평균 전세가 보다 훨씬 낮은 전세가율이라면 매도를 고려해보는것 이 안정적입니다. 보통 평균전세가.. 2022. 12. 1. 깡통전세에서 전세금을지키는 방법 2. 전세권설정등기 전세권반환보증보험가입하기 깡통전세에서 전세금을 지킬려면 반드시 확정일자를 받거나 전세권설정등기를 하여야 한다. 전세권설정등기를 하지 않는다마면 전세권반환보증보험에 가입을 해야합니다. 전세권 설정 등기란 ? 전세권설정은 민법상 임차권으로 임대차계약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며 등기사항증명서 을구에 자신이 전세 세입자라는 사실과 함께 전세권설정금액이 표기되며 부동산 전부에 대한 후순위 권리자, 기타 채권자보다 전세금의 우선변제를 받을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세권설정을 하면 신청당일부터 효력이 발생하고,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했을 때 소송없이도 경매로 집을 넘길 수 있습니다. 전세권 설정을 하기위해서 반드시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전세권 설정시 필요서류 임대인 임차인 등기필증 초본 1통 인감 1통 인감도장 등본 1통 도장 확정일자의 효.. 2022. 11. 8. 깡통전세에서 전세금을지키는 방법 1. 등기부등본확인하기 깡통전세란?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 + 세입자의 보증금의 합계가 시세보다 높거나 거의 시세와 맞는 경우를 말합니다. 계약 당시 정상적으로 계약을 했더라도 부동산 하락으로 인해 매매가가 기존 주택담보대출+ 전세가 이하로 떨어져서 집주인이 집을 팔아 담보대출을 갚은 후, 전세금을 온전히 돌려줄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통상적으로 깡통전세는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금과 세입자의 전세 보증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80% 이상일 때를 말하는데 만약 집주인이 대출금 이자를 못할 경우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깡통전세를 피하는 방법? 1. 전셋집을 계약하기 전에 반드시 등기부등본 서류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2. 전세권설정등기하기 , 전입신고+확정일자 받기 3. 전세권보증보험 가입.. 2022. 11. 4.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